타전공한 사람으로서 전자공학은 진짜 입문하기 어려운 것 같다.
내 인생에 전자공학이라니~ 난 자연계열소녀라고요 ㅋ
샤따마우스하고 HPF에 대해 발만 살짝 담가볼게요

HPF(High Pass Filter)는 높은 주파수인 고주파만 통과하는 필터를 의미한다.

HPF의 RC회로는 CR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LPF의 RC회로는 RC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패시터의 리액턴스 Xc는 1/wC 이기 때문에 1/2파이fC 이고, 주파수와 반비례한다. 따라서 주파수 f가 높으면 커패시터의 리액턴스가 작아지고,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 V가 낮아진다.
여기서 전압분배법칙이라는 것이 있는데
HPF에서는 전압분배법칙을 알아야 이해하기 쉽다.(LPF에서도 전압분배법칙이 적용되나 생략해도 해석하는데 큰 의미없음)
그렇다면
전압분배법칙이 무엇이냐!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CR회로는 HPF와 관련이 있다.(위의 사진 참고)
고주파가 입력값으로 들어오면 커패시터의 리액턴스가 작아지지만, 저항 R에서 걸리는 전압 VR이 커지기 때문에 고주파는 통과된다. 반대로 저주파가 입력값으로 들어오면 커패시터의 리액턴스는 커지지만, VR이 작아지기 때문에 차단되어 통과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RC회로의 전압분배법칙 식을 보면 분자와 분모의 Xc가 같은 계수이기 때문에 커패시터의 리액턴스인 Xc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즉, LPF와 관련이 있는 RC회로는(위의 사진 참고) 고주파가 입력값으로 들어오면 저항 R에서 걸리는 전압 VR이 일정하고,(일정이 맞는지 check 바람) 커패시터의 리액턴스는 작기 때문에 차단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해해도 되는지 모르겠다. 구글링과 챗지피티로 최대한 이해하려고 노력한건데 간혹 챗지피티가 말을 바꾸는 경향이 있어서 정말이지 혼란스럽다. 우선 처음부터 정석으로 이해할 수 없는 환경이니 이렇게라도 이해해야겠다.
일이 생겨 임시 저장해두고 얼른 마무리해서 이어 써야지 했는데
안녕하세요 2주 뒤에 돌아왔습니다
이후에 뭘 적으려고 했는지 기억도 안 나서 글을 마무리하고 새로 글을 써야겠어용

'공부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 LSTM 모델과 CNN 합성곱 신경망 (3) | 2024.12.02 |
---|---|
[딥러닝] 퍼셉트론, 기울기 소실 방지, 순환신경망 RNN모델 (0) | 2024.11.28 |
[딥러닝] 혼동 행렬, 시그모이드 함수, 렐루 함수 등 (0) | 2024.11.26 |
2024 노벨 생리의학상 miRNA 유전자 조절 (4) | 2024.11.02 |
[Biopac] ECG(심전도), 신호 처리를 위한 LPF 필터에 대하여 (4) | 2024.09.23 |